요약
1. 도로의 정의는 여러 법에서 다르게 정의되어 있음
2. 그 중 도로법에서 정의하는 도로 기준임
https://studio-oim.tistory.com/1058
계획관리지역에 숙박시설 설치 시 도로로 부터 이격 거리 판단 기준
계획관리지역에 숙박시설 설치 시 도로로 부터 이격 거리 판단 기준 요약1. 계획관린지역에서는 예외 조건 충족 시 숙박시설 설치 가능함2. 그 중 도로의 경계로부터 이격거리(50m 이내)는 숙박
studio-oim.tistory.com
[시행 2024. 10. 25.] [법률 제19766호, 2023. 10. 24., 일부개정]
제2조(정의)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.
1. “도로”란 차도, 보도(步道), 자전거도로, 측도(側道), 터널, 교량, 육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10조에 열거된 것을 말하며, 도로의 부속물을 포함한다.
2. “도로의 부속물”이란 도로관리청이 도로의 편리한 이용과 안전 및 원활한 도로교통의 확보, 그 밖에 도로의 관리를 위하여 설치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또는 공작물을 말한다.
제10조(도로의 종류와 등급) 도로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고, 그 등급은 다음 각 호에 열거한 순서와 같다.
1. 고속국도(고속국도의 지선 포함)
2. 일반국도(일반국도의 지선 포함)
3. 특별시도(特別市道)ㆍ광역시도(廣域市道)
4. 지방도
5. 시도
6. 군도
7. 구도
[시행 2024. 10. 25.] [대통령령 제34962호, 2024. 10. 25., 일부개정]
제2조(도로) 「도로법」(이하 “법”이라 한다) 제2조제1호에서 “차도, 보도(步道), 자전거도로, 측도(側道), 터널, 교량, 육교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”이란 다음 각 호의 시설이나 공작물을 말한다.
1. 차도ㆍ보도ㆍ자전거도로 및 측도
2. 터널ㆍ교량ㆍ지하도 및 육교(해당 시설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)
3. 궤도
4. 옹벽ㆍ배수로ㆍ길도랑ㆍ지하통로 및 무넘기시설
5. 도선장 및 도선의 교통을 위하여 수면에 설치하는 시설
해체허가/심의 체크리스트_성동구 (1) | 2024.11.26 |
---|---|
용도변경신고 체크리스트_성동구 (3) | 2024.11.09 |
피난계단 설치 기준, 설치 제외 기준 (0) | 2024.10.28 |
시설물안전법에 따른 제1·2·3종 시설물 분류 및 점검 주기 (1) | 2024.09.05 |
경관심의 대상 및 절차_제천시 (0) | 2024.08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