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약
1. 과밀부담금 산정을 위한 기준 공사비
2. 제곱미터 기준이므로 평단가 계산을 위해서는 3.3을 곱해야함
ex) 2023년 평당 표준공사비 = 약 745만원
https://studio-oim.tistory.com/973
2024년 표준공사비(국토부 고시)
2024년 표준공사비(국토부 고시) 요약 1. 과밀부담금 산정을 위한 기준 공사비 2. 제곱미터 기준이므로 평단가 계산을 위해서는 3.3을 곱해야함 ex) 2023년 평당 표준공사비 = 약 745만원 https://studio-oim
studio-oim.tistory.com
https://studio-oim.tistory.com/910
2023년 용도별 평균 건축비(단위면적당, 평당)_한국부동산원
2023년 용도별 평균 건축비(단위면적당, 평당)_한국부동산원 요약 1. 비상주 감리비 산정에 적용하는 기준 2. 그 밖의 건축물은 표에서 유사한 용도를 참조하여 적용 3. 공사비 산정 시에는 단순참
studio-oim.tistory.com
https://studio-oim.tistory.com/943
2023년 공공건설임대주택 표준건축비(국토부 고시)
2023년 공공건설임대주택표준건축비(국토부 고시) 요약 1. 적용 대상 a) 2023년 개정안 고시 이후 최초로 입주자모집공고의 승인을 신청하는 분 b) 2023년 개정안 고시 이후 최초로 분양전환에 관한
studio-oim.tistory.com
https://studio-oim.tistory.com/944
2023년 건설업자가 아닌 자가 시공하는 건설공사 표준 공사비
2023년 건설업자가 아닌 자가 시공하는 건설공사 표준 공사비 요약 1. 건설업자가 아닌자의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험의 보험료 징수 산정에 기준이 되는 공사비 2. 총공사비 산정방식 a) 건축사
studio-oim.tistory.com
[시행 2023. 1. 1.] [국토교통부고시 제2022-808호, 2022. 12. 28., 폐지제정]
□ 2023년도 표준건축비 : 2,257,000원/㎡
- 2023년 : 2,257,000원/㎡(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-808호)
- 2022년 : 2,130,000원/㎡(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-1455호)
- 2021년 : 2,048,000원/㎡(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-1051호)
- 2020년 : 2,000,000원/㎡(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-802호)
- 2019년 : 1,923,000원/㎡(국토교통부 고시 제2018-882호)
- 2018년 : 1,859,000원/㎡(국토교통부 고시 제2017-898호)
- 2017년 : 1,812,000원/㎡(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-942호)
- 2016년 : 1,762,000원/㎡(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-1013호)
- 2015년 : 1,715,000원/㎡(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-880호)
- 2014년 : 1,693,000원/㎡(국토해양부 고시 제2013-824호)
- 2013년 : 1,664,000원/㎡(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-974호)
- 2012년 : 1,630,000원/㎡(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-838호)
- 2011년 : 1,627,000원/㎡(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-985호)
건축물 높이의 특례(인센티브) 중첩 적용 가능 여부_건축법 (0) | 2023.02.14 |
---|---|
용적률의 특례(인센티브) 중첩 적용 가능 여부_국계법 (0) | 2023.02.14 |
개발제한구역 내 건축물, 공작물 설치 범위 (0) | 2023.01.08 |
대지가 둘 이상의 용도지역·용도지구·용도구역에 걸치는 경우 (0) | 2023.01.03 |
옹벽에 관한 기술적 기준 (1) | 2022.12.25 |